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리뷰

택시운전사 - 실화를 기반으로한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by 김몬몬 2023. 7. 22.

 

"실화를 기반으로한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영화 "택시 운전사"는 2017년의 5.18 광주 민주화 항쟁 당시 독일 외신 기자 힌즈페터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화를 재구성한 작품입니다. 영화 속에서 주요 인물로 묘사되는 힌즈페터는 실제로도 여러 외신 기자들이 광주에 출입하여 군부독재의 사건을 보도한 역사적 사실속 인물이며, 영화는 이러한 역사적 사건을 재구성함으로써 실제 사건에 대한 다시 한 번의 생각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송강호의 감동적인 연기와 광주 사람들과의 공감"

배우 송강호가 김사복 역할로 인상적인 연기를 펼치며, 그의 인간적인 고뇌와 상황 속에서 변해가는 모습은 광주 사람들과의 공감을 일으키며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영화를 통해 김사복의 답답한 상황을 공감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와 유사한 선택과 행동을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송강호의 연기는 영화에 감동적인 장면을 더했고, 광주 사람들과의 공감을 이끌어냈다고 생각합니다.

 

"반복해서 일어나서는 안될 역사와 희생된 사람들의 명복을 비는 영화"

영화 "택시 운전사" 감동적인 장면과 괜찮은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 역사적인 군부독재 시기의 5.18 민주화 항쟁에 대한 다시  번의 생각을 이끌어낸다. 이는 반복해서 일어나서는 안될 역사이며, 희생된 사람들의 명복을 비는 동시에 다시   보아도 좋은 영화 "택시 운전사"라는 결론을 남긴다.

 

"혼란과 충돌 속에서의 만석의 선택"

1980년, 택시 운전사인 만석은 사회적 혼란과 도로 혼잡으로 인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서울에서 택시 운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만석은 데모와 항쟁을 pres하며 이에 공감하지 못하는 심정을 갖고 있다. 어느 날, 데모하는 학생과의 사고로 인해 택시의 사이드 미러가 깨지고, 만석은 경찰을 피해 도망가는 학생 앞에 임산부 부부를 만나게 된다. 부부는 병원에 가야 한다며 태워달라고 부탁하고, 지갑을 가져와서 더블로 지불할 것을 약속한다. 이후 만석은 집으로 돌아가려 하지만, 자신의 딸이 다친 모습을 보고 주인댁과의 갈등을 마주치게 되는데, 그들도 다친 것을 알게 된다. 마음이 흔들리지만 월세가 밀려있어 말을 못한 채 돌아온다.

"계엄령과 광주 사건의 파장"

전국적으로 계엄령이 선포되고 대학교들이 휴교된 상황에서, 독일 외신기자인 힌즈페터는 심각한 사건이 발생한 한국을 방문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친구들과 광주에서 만나기로 하고, 광주에서 김대중의 구속과 김영삼의 자택 감금 사실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영화는 계엄령과 광주 사건이 일으킨 파장과 현실적인 상황을 보여줍니다.

 

"힌즈페터와 만석의 우연한 만남"

만석은 사이드 미러 수리를 위해 친구인 상구의 아빠와 식사를 하게 된다. 그런데 테이블 옆에서 택시 기사들의 이야기를 듣게 되고, 힌즈페터에게 광주로 가면 하루 택시비로 10만 원을 지불할 것을 알게 된다. 힌즈페터는 개인 택시에 타는 것에 의심을 품지만, 만석의 연기에 휘둘려 택시에 타고 광주로 향하게 됩니다.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한 영화의 시작"

힌즈페터와 만석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영화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를 통해 영화는 혼란과 충돌 속에서의 만석의 선택, 계엄령과 광주 사건의 파장, 그리고 우연한 만남을 다루며 현실적인 상황과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군인들과의 마주침과 위기의 선택"

광주에 도착한 만석과 피터는 군대가 세운 바리케이드를 넘어가려는데 검문을 하는 군인들과 마주치게 됩니다.. 군인들의 통제와 험악한 분위기 속에서 만석은 처음에는 돌아가려고 생각하지만, 피터와의 대화를 통해 다시 마음을 다잡고 찾아보기로 결심합니다. 예상대로 군인들이 지키고 있는 산길을 통과한 후, 만석은 대학생들을 만나게 되고 피터의 기자 신분을 알게 됩니다. 하지만 만석은 위험을 느끼고 데모에 참여하는 척하다가 돌아가게 됩니다.

 

"순수한 도움과 환대"

병원으로 가는 도중 만석은 한 할머니를 태우고 광주 상황에 대해 듣게 됩니다. 도착한 병원에서 다시 피터를 만나게 되고, 택시기사들에게 공짜로 기름을 넣어주는 도움을 받습니다. 도청에 도착한 후 음식을 나누며 서로를 격려하고 환대하는 순수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만석은 혼란에 빠집니다.

 

"위기 극복과 피터와의 이별"

광주의 혼란과 위험한 상황을 마주하면서 최 기자와 피터 일행이 카메라에 폭력적인 장면을 담습니다. 위기를 피하고자 하는 만석을 제치고 모두가 내려오며 만석은 피터를 달래기 시작한다. 위기를 극복한 후 만석은 피터와 함께 경찰들을 피해 서울로 돌아가려고 준비한다. 이때 피터에게 연락처를 남겨주려는 만석에게 피터는 택시 수리비를 제안하지만, 만석은 가명인 김사복과 잘못된 연락처를 적어놓는다.

 

"감동적인 마무리와 힌즈페터의 인터뷰"

 

집으로 돌아와 딸을 안고 우는 만석을 보면서 영화는 2003년에 피터가 한국에서 언론상을 받은  택시를 운전하고 있던  시각으로 이어진다. 영화는 힌즈페터의 인터뷰로 마무리되며 광주 사건을 다룬 이야기가 감동적으로 완결된다.

반응형

댓글